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온 세상이 하얗다

덤프버전 :

온 세상이 하얗다 (2022)
And There was Light
장르
로맨스
감독
김지석
각본
김지석
출연
강길우, 박가영 외
제작사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소셜프로덕션
배급사
개봉일
파일: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.svg 2020년 10월 21일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2022년 2월 10일
상영 시간
107분
대한민국 총 관객 수
상영 등급

1. 개요
2. 개봉전 정보
3. 예고편
4. 시놉시스
5. 등장인물
6. 설정
7. 줄거리
8. 평가
8.1. 평론가 평
9. 흥행
10. 기타



1. 개요[편집]


대한민국의 2022년 로맨스 영화. 김지석이 연출하였고, 강길우, 박가영 등이 출연하였다.


2. 개봉전 정보[편집]


2020년 10월 부산국제영화제 '한국영화의 오늘 - 비전' 부문에 초청되어 상영되었고, 역시 같은 달인 2020년 10월 제20회 전북독립영화제 '국내 경쟁-장편 부문'에도 초청되어 상영되었다.

3. 예고편[편집]


30초 예고편

메인 예고편


4. 시놉시스[편집]


한 남자가 있다.

매일 죽음을 다짐하지만 알코올성 치매로 의도치 않게 거짓말을 하며 다짐을 잊고 살고 있다.

한 여자가 있다.

그냥 습관적으로 거짓말을 하며 우울함과 무력감으로 죽을 결심을 한다.

김모인과 류화림이 우연히 만났다.

그리고 함께 죽기 위해 태백으로 향했다.

한 남자와 한 여자는 까마귀숲에 도착했고,

눈이 내리기 시작했다…

온 세상이 하얗다

출처: 다음 영화



5. 등장인물[편집]


  • 김모인 - 강길우
  • 류화림 - 박가영 분


6. 설정[편집]


극중 시간적 배경은 2022년에서 2023년에 이르는 시간이다. 이 작품이 2020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적도 있으므로, 제작시점을 고려할 때, 이는 '현대'라기보단 '가까운 미래'로 설정한 것이다. 이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서울과 태백시로 보이는데, 실제 주요 촬영지는 서울 면목동 일대와 태백시 주변이다.


7. 줄거리[편집]




8. 평가[편집]



















파일:Letterboxd 로고 화이트.svg
( XXX위
20XX-XX-XX 기준
)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파일:네이버 로고 화이트.svg
[[https://movie.naver.com/movie/bi/mi/basic.nhn?code=|
기자·평론가
/ 10
관람객
/ 10
네티즌
/ 10
]]
[[https://search.naver.com/search.naver?where=nexearch&query=영화++평점|

기자·평론가
/ 10
관람객
/ 10
네티즌
/ 10
]]
평점 / 10







파일:다음 로고.svg
평점 / 10





파일:CGV 로고 화이트.svg
지수 %






파일: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.svg
평점 / 10




파일:메가박스 로고 화이트.svg
평점 / 10



MRQE
평점 / 100





파일:cinemascore-logo.png
등급






파일:TMDB 로고.svg
점수 %









8.1. 평론가 평[편집]


음주남녀


기억상실증에 걸린 남자와 무기력증에 걸린 여자. 우연히 만난 두 사람에겐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. 술과 죽음. 그들은 영화 내내 술을 마시고, 둘 다 자살하겠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으며, 결국 강원도 태백으로 죽음을 위한 여행을 떠난다. 이렇게 요약하면 꽤나 심각한 영화처럼 느껴지지만, <온 세상이 하얗다>는 의외로 엉뚱한 유머를 지녔으며, 강길우와 박가영 두 배우의 여백 있는 연기는 영화의 톤에 잘 어울린다. 한적한 풍경을 즐기듯 볼 수 있는 영화다.

- 김형석 (영화 저널리스트) (★★★)


채우려는 강박 대신 응시를 택하다


관계성의 강박에서 벗어난 인물 배치가 의외의 감흥을 선사한다. 죽음을 좇는 두 사람의 속내를 집요하게 파내는 대신 조용한 거리 두기로 응시하자 뜻밖에 더 많은 것들이 감지되기도 한다. 텅 빈 여백을 굳이 채우려 하지도, 적당한 냉소와 싱거운 유머를 붕 뜬 철학으로 포장하려고 하지 않는 여정이 담백하다. 애쓰는 연기라기보다 시공간을 천천히 유영하는 방식을 택한 듯한 강길우와 박가영의 연기가 영화의 톤을 완성한 인상이다.

- 이은선 (영화 저널리스트) (★★★)


죽음을 대하는 낯선 풍경


한 동네에서 우연히 만난 두 남녀가 함께 죽기로 한다. 알코올성 치매인 남자와 알코올 중독인 여자의 만남이라는 설정부터 흥미롭다. 죽겠다는 결심마저 매일 잊는 사람과 습관적으로 거짓말을 하며 우울과 무기력에 빠진 사람이 과연 관계 맺음을 할 수 있을까. 영화는 태백으로 자살 여행을 떠난 두 주인공의 상황을 우스꽝스럽게 때로는 기이하게 전개하며 죽음을 흔하지 않은 방식으로 다룬다. 호감을 갖기 쉽지 않은 캐릭터에 신선함을 부여한 주연배우 강길우와 박가영의 연기가 하얀 눈처럼 영화를 화사하게 밝힌다.

- 정유미#영화 평론가 (영화 저널리스트) (★★☆)


그래도 살 만한 세상에 대하여

- 김철홍 (★★★)


삶만큼 무상한 죽음 앞에, 온 세상이 삼삼하다

- 남선우 (★★★)


난데없고 실없지만 마무리는 그럭저럭

- 박평식 (★★☆)


나른나른 리얼리즘, 별세상 판타지

- 이용철 (★★★☆)



9. 흥행[편집]


출처: 박스오피스 모조
국가개봉일총수입 (단위: 미국 달러)기준일
전 세계(최초개봉일)$(세계누적)(기준일자)
개별 국가 (개봉일 순, 전 세계 영화 시장 1, 2위인 북미, 중국은 볼드체)
북미미정미개봉미정
중국미정미개봉미정


9.1. 대한민국[편집]


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
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
개봉 전-명-명미집계-원-원
1주차20XX-XX-XX. 1일차(수)-명-명-위-원-원
20XX-XX-XX. 2일차(목)-명-위-원
20XX-XX-XX. 3일차(금)-명-위-원
20XX-XX-XX. 4일차(토)-명-위-원
20XX-XX-XX. 5일차(일)-명-위-원
20XX-XX-XX. 6일차(월)-명-위-원
20XX-XX-XX. 7일차(화)-명-위-원
2주차20XX-XX-XX. 8일차(수)-명-명-위-원-원
20XX-XX-XX. 9일차(목)-명-위-원
20XX-XX-XX. 10일차(금)-명-위-원
20XX-XX-XX. 11일차(토)-명-위-원
20XX-XX-XX. 12일차(일)-명-위-원
20XX-XX-XX. 13일차(월)-명-위-원
20XX-XX-XX. 14일차(화)-명-위-원
3주차20XX-XX-XX. 15일차(수)-명-명-위-원-원
20XX-XX-XX. 16일차(목)-명-위-원
20XX-XX-XX. 17일차(금)-명-위-원
20XX-XX-XX. 18일차(토)-명-위-원
20XX-XX-XX. 19일차(일)-명-위-원
20XX-XX-XX. 20일차(월)-명-위-원
20XX-XX-XX. 21일차(화)-명-위-원
4주차20XX-XX-XX. 22일차(수)-명-명-위-원-원
20XX-XX-XX. 23일차(목)-명-위-원
20XX-XX-XX. 24일차(금)-명-위-원
20XX-XX-XX. 25일차(토)-명-위-원
20XX-XX-XX. 26일차(일)-명-위-원
20XX-XX-XX. 27일차(월)-명-위-원
20XX-XX-XX. 28일차(화)-명-위-원
합계누적관객수 -명, 누적매출액 -원[1]



10. 기타[편집]





[1] ~ 20XX/XX/XX 기준

관련 문서